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광고, 마케팅, 브랜딩

(5)
23년 유튜브 쇼츠에 광고 도입 예정, 그렇다면 마케터들은 어떤 대응을 해야하는가? 지난 20일 미국 LA에서 열린 '메이드 온 유튜브' 행사에서 2023년 유튜브 쇼츠에 광고 도입을 한다는 언급이 오피셜로 등장했다. 수익 구조는 제작자에게 45%가 넘어갈 예정. 정확히 어떤 로직으로 전달될지는 아직 밝혀지진 않았다. 기존 틱톡시장을 따라잡기 위한 수단으로 보이며, 여러가지 이슈들을 해결해야겠지만 기존 일반 영상에서의 광고수익이 발생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작자에게 수익이 발생한다는 것은 유의미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광고제작자, 마케터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1) 기존의 정사각, 가로확장형 광고에서 세로형 3:4 광고로 변환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 쇼츠에서는 물론 지금도 시범운영으로 광고를 내보내고 있지만, 이에 확실하게 대응하는 기업은 그리 많지 않다. 이유가 무엇일까..
구글, 유튜브 광고(GDN)를 4개월간 직접 운영,관리해 본 후기 구글, 유튜브 광고(GDN)를 집행한 지, 4개월이 다 되가고 있다. 기존에 집행하던 페이스북 광고 (현 META 광고)가 효율이 저조하기도 하고, 요즘엔 유튜브 광고가 대세라고 하여 시작하게 됐는데, 이를 운영하면서 몇가지 애로사항들이 발생하고 있다. 물론 아무리 속을 썩이더라도, META 광고만 하겠나 싶지만 말이다. 우선 간략히 정리하자면 큰 장점과 단점으로 구분 할 수 있겠다. 장점1) 광고 계정의 정지 위험이 META 에 비해 현저히 낮다. 아무리 생각해도 구글 광고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META 광고는 알 수 없는 이유로 광고 비승인이 몇 번 나버리게 되면, 비즈니스 계정이 비활성화 되거나 아에 날아가 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구글 광고는 소재가 비승인이 날 지언정, 광고 계정은..
페이스북은 왜 마케팅 채널에서 점점 인기가 떨어지는가? 기존 네이버 키워드 광고가 대세이던 시절을 지나, 2016년부터 페이스북 마케팅이 급부상하게 되면서 많은 마케터들이 페이스북을 기점으로 하여 마케팅 기획을 짜고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인수했던 인스타그램에서도 광고가 활발해지기 시작하면서 그 규모는 점점 커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2019년을 기점으로 점점 그 효율이 점점 떨어지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많은 대행사에서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광고 (이하 META 광고)의 비중을 줄여놓은 상태이다. 마케팅 채널의 왕좌에서 점점 효율이 떨어지게 된 META. 그 이유는 무엇일까? 1. 애플 IOS 14.5 업데이트로 인한 추적광고 차단 META 광고의 경우,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 픽셀을 기반으로 하여 유저의 패턴을 추적하여 광고를 보여줬었다. ..
브랜드를 소개하다 브랜드가 된 남자. 'Brand Boy' 2020년 가장 재밌게 봤던 책 중 하나인 '드디어 팔리기 시작했다' 이 책은 분야를 막론하고 여러 브랜드가 성공할 수 있던 요인들을 주,객관적인 시선으로 분석을 하고 있다. 특히 개인의 경험을 살려 각 브랜드를 소개하는 서두의 내용은 해당 브랜드를 잘 모르더라도 쉽게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이 책의 저자는 Brand Boy 라는 페이스북 페이지를 운영하는 운영자다.(https://www.facebook.com/Brandboy1) 각종 브랜딩과 관련된 굵직한 이슈들을 큐레이팅(?) 해준다. 이 페이지만 잘 구독하고 있더라도, 여러 분야의 이슈들을 요점만 쏙쏙 알 수 있다. 정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토스의 브랜드 마케터로 근무하시는 분이라고 한다. 내가 아는 소식은 여기까지 였으나, 최근 유튜브를 ..
현업에서 말하는 마케팅이란?👩‍🏫 마케팅이란 본디 무엇인가를 판매하기 위한 모든 수단을 일컫는 말인데, 2020년 12월 30일 기준으로 흔히 우리가 말하는 마케팅 = 홍보 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이는 IT기업 뿐만 아니라, 제조업, 출판업, 요식업 등 다양한 곳에서도 비슷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IT를 기반으로 한 기업에서 마케팅 부서에서는 [ 마케팅 기획/전략 ] [ 마케팅 실무 ] [ 데이터 분석 ] 으로 크게 나눠서 볼 수 있다. 마케팅 부서에서는 페이스북 광고를 예쁘게 만들거나, 구글 광고를 사이즈에 맞게 디자인하거나, TV 광고 채널을 잘 선택하는 것은 기술에 해당한다고 보면된다. 즉, 잘한다, 못한다의 영역이 아니라, 할수 있다, 없다. 로 구분하면 실무자와 대화하기 편하다. 흔히 "마케팅을 잘한다." 라는 뜻은 1..

반응형